728x90 ubuntu13 Linux Top 10 Linux는 기본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배포판이 존재합니다. 각 각의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Ubuntu (우분투) Enterprise Open Source and Linux | Ubuntu Ubuntu is the modern, open source operating system on Linux for the enterprise server, desktop, cloud, and IoT. ubuntu.com 데스크톱 및 서버 용으로 인기 있는 배포판입니다. 사용하기 쉽고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데비안 리눅스에서 파생된 리눅스입니다. RedHat (레드햇) The world's open.. 2023. 3. 16. Ubuntu hosts파일 수정 후 적용 우분투 서버에서 hosts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OS(Windows, Unix, Linux, MAC)는 hosts라는 파일을 이용해서 DNS를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도메인으로 어떤 시스템에 접근을 하려고 할 때,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얻기 위함입니다. 도메인으로 접근 시 시스템은 먼저 hosts파일에 있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먼저 검색을 하고 없으면, .com, .co.kr. kr과 같은 도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얻어 옵니다.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특정 도메인을 소유하게 되고, 해당 도메인은 그 서버의 IP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스템내부에서 처리작업을 할 때 보통 localhost로 처리를 하지만, 도메인으로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 2023. 3. 8. Ubuntu nodejs LTS, Latest(Current) 설치 Ubuntu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인 "apt"를 이용하여 nodejs를 설치하는 경우, 아주 오래된 버전이 설치가 됩니다. 현재 배포되고 있는 LTS 혹은 Latest(Current)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 nodej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침을 따라서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아래의 순서에 따라서 링크를 진입하여 최종 설치 지침서대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Node.js 홈페이지로 이동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Node.js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Other Downloads" 링크를 클릭하여 페이지 이동합니다. (둘 중 아무거나 클릭해도 동일한 페이지로 이동합니.. 2022. 7. 15. Ubuntu 사용자 추가, 권한 부여하기 사용자를 추가하고, 추가된 사용자에게 "sudo"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사용자 추가 sudo adduser 사용자명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사용자명으로 사용자, 그룹, 홈 디렉터리(/home/사용자명)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저장하기 위한 간단한 사용자 정보를 물어보는데, 그냥 'enter'키를 누르면 default로 저장이 됩니다. 아래는 실행한 예제 화면입니다. 사용자에게 "sudo"권한 부여 아래는 사용자에게 "sudo"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sudo편집 명령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Ubuntu 기본 편집기인 nano로 실행이 되어 편집 화면이 보입니다. sudo visudo 편집 화면 "사용자명 ALL=(ALL:ALL) ALL"을 "root ALL=(ALL:A.. 2022. 7. 14. Ubuntu Apache SSL Express 연동 Ubuntu에서 Apache 웹서버와 Node.js의 Express를 연동하고, SSL을 연동하여 HTTPS서비스를 위한 설정을 간단하게 요약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패키지, 모듈, 설정파일 설치 apache서버와 ssl연동에 필요한 Ubuntu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Apache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apache2 # SSL관련 Apache 모듈 설치 sudo a2enmod rewrite sudo a2enmod ssl sudo a2enmod proxy sudo a2enmod proxy_http sudo a2enmod proxy_html sudo a2ensite default-ssl.conf SSL/TLS: 웹 보안의 필수 구성요소 인터넷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 2022. 5. 5. Ubuntu 방화벽 ufw Ubuntu 기본 방화벽인 ufw(Ubuntu Firewall)을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자세한 문서는 아래의 링크(UFW - Community Help Wiki)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UFW - Community Help Wiki Introduction For an introduction to firewalls, please see Firewall. UFW - Uncomplicated Firewall The default firewall configuration tool for Ubuntu is ufw. Developed to ease iptables firewall configuration, ufw provides a user friendly way to create an IPv hel.. 2022. 3. 4. Ubuntu MariaDB 설치 초기 설정 Ubuntu 서버 설치 후 MariaDB설치에서 초기 설정(포트 변경)하는 방법과 Database와 User를 생성하는 MaraiDB 초기 세팅 시 필요한 명령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서버 운영에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설치 # MariaDB 서버 설치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 MariaDB 클라이언트 설치 sudo apt install mariadb-client 설정 기본 설정 파일은 "/etc/mysql/mariadb.conf.d/" 폴더 아래에 "50-server.cnf"파일입니다. 아래는 MariaDB의 기본 포트인 "3306"을 "8306"으로 변경하는 예제입니다.(원하시는 포트번호로 변경하여 사용하세요.) sudo vim /etc/mysql/mari.. 2022. 3. 3. Ubuntu 파일 폴더 압축(tar 명령어) Ubuntu에서 파일을 압축하려면 "tar"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묶거나, 아카이브 파일을 압축하거나, 아카이브 파일을 해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tar"는 "tape archive"의 약자입니다. "gz"은 "gzip"의 약자이며, "gzip"은 GNU zip의 약자입니다. 아래는 "tar" 명령어를 사용하는 간단한 예시입니다. 1. 압축하기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명이 "압축파일명.tar.gz"으로 압축이 됩니다. 각 각 폴더를 압축하는 경우와 여러 파일을 묶어서 압축하는 예제입니다. # 폴더 압축 tar zcvf 압축파일명.tar.gz 폴더명 # 파일 압축 tar zcvf 압축파일명.tar.gz.. 2022. 3. 3. Ubuntu ssh 포트 변경 Ubuntu 서버에서 ssh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ssh의 기본 포트 번호는 '22'번입니다. 기본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해킹 공격 스크립트에 노출되어 네트워크 트래픽도 많이 생기고, 그에 의해서 로그파일도 많이 생성되므로, 외부 서비스 포트(예: 80, 443)를 제외하고 잘 알려진(well-known) 포트는 변경하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ssh 설정파일 vim 편집기로 열기 sudo vim /etc/ssh/sshd_config 2. 포트 변경 port 포트번호 * vim 편집기 간단 사용법 - 편집모드 진입: "i" 키 입력 - 저장: "Esc"키를 눌러 명령어 모드로 진입 후 ":wq" 혹은 ":x" 입력 -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Esc"키를 눌러 명령어 모드.. 2022. 2. 23. Ubuntu 패키지 관리 툴 apt Ubuntu 서버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 관리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인 apt명령어입니다. 아래에 서버 운영하면서 가장 많이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정리합니다.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패키지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 패키지 업그레이드 sudo apt upgrade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합니다.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패키지명 시스템에 특정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패키지 삭제 sudo apt remove 패키지명 시스템에서 특정 패키지를 삭제합니다. sudo apt autoremove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패키지를 삭제합니다. (패키지 의존성 확인 후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패키지들을 삭제합니다.) 패키지 검색 sudo apt se.. 2022. 2. 5. Ubuntu locale 문자셋 변경 서버호스팅 업체를 통해서 Ubuntu 서버를 할당받은 경우, 기본 언어인 영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경우, 언어적인 면에서 약간의 괴리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좀 더 친숙한 대한민국(한국어)으로 Locale(지역화)과 언어를 변경하여 좀 더 편리하게 서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아래에 그 방법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시스템 locale 확인 현재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Locale(지역화), 기본 언어와 각종 단위(예: 날짜, 시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locale 언어팩 설치 (한글)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글 언어팩을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Locale 파일 생성 템플릿파일을 이용해.. 2022. 2. 5. Ubuntu 기본 편집기 변경 Ubuntu OS 의 기본 편집기가 "nano"로 변경 되었습니다. 아직 익숙하지 않고, 학습할 시간이 부족하고, 급하게 일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익숙한 vi(vim)편집기로 변경 후 진행하는게 좋습니다. 아래의 명령어로 기본 편집기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기본 편집기 변경 명령어 select-editor 명령어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4가지의 편집기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자, 특정 명령어(예: crontab -e)에 의해 편집모드로 진입하면 원하는 편집기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2022. 2. 5. Ubuntu Mount NAS 폴더 NAS를 원격 연결하여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래는 저의 성공사례 예제이며, 해당 NAS 타입에 따라서 명령어가 약간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의 매뉴얼 혹은 "man" 페이지를 참고하시어 수정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mount -t cifs //NAS아이피/공유폴더명 /mnt/마운트명 -o user='접속사용자명',password='접속비번',vers=2.0 2020. 11. 1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