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Linux19

CNAME 레코드 추가여부 확인 방법 DNS설정에서 CNAME 레코드를 추가하고 올바르게 등록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CNAME 레코드를 추가 혹은 등록 후 웹브라우저에서 확인 가능하지만, 터미널 화면에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3. 5. 1.
Linux Top 10 Linux는 기본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배포판이 존재합니다. 각 각의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Ubuntu (우분투) Enterprise Open Source and Linux | Ubuntu Ubuntu is the modern, open source operating system on Linux for the enterprise server, desktop, cloud, and IoT. ubuntu.com 데스크톱 및 서버 용으로 인기 있는 배포판입니다. 사용하기 쉽고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데비안 리눅스에서 파생된 리눅스입니다. RedHat (레드햇) The world's open.. 2023. 3. 16.
Linux 초보자를 위한 chmod 명령어 기초 사용법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과 디렉터리의 권한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chmod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chmod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권한 설정 방법, 그리고 주의할 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chmod는 "change modes"의 약자입니다. 리눅스의 "ls -l"명령어로 아래와 같이 파일에 부여된 권한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hmod 명령어란? chmod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권한에 대한 이해 사용자 유형 리눅스에서는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3가지 사용자 유형에 대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owner):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생성.. 2023. 3. 15.
Linux 초보자를 위한 ls 명령어 기초 사용법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과 디렉터리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ls 명령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ls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부터 다양한 옵션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는 방법까지 알아봅니다. ls는 "list"의 축약어 입니다. ls 명령어란? ls는 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 중 하나로,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또는 지정한 디렉터리의 파일 및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 보기 터미널에서 간단한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ls 특정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 보기 특정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확인하려면 .. 2023. 3. 15.
Linux 명령어 정리: 초보자를 위한 핵심 명령어 모음 Linux는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고 어려운 운영체제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Linux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기본적인 명령어만 알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Linux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핵심 명령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Linux는 터미널에서 작동하는 운영체제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보다는 명령어(Command)를 이용해 작업을 처리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Linux를 처음 사용할 때 이러한 명령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Linux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들이 알아두면 좋은 핵심 명령어들을 소개하겠습니다. pwd: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하기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 2023. 3. 15.
Ubuntu hosts파일 수정 후 적용 우분투 서버에서 hosts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OS(Windows, Unix, Linux, MAC)는 hosts라는 파일을 이용해서 DNS를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도메인으로 어떤 시스템에 접근을 하려고 할 때,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얻기 위함입니다. 도메인으로 접근 시 시스템은 먼저 hosts파일에 있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먼저 검색을 하고 없으면, .com, .co.kr. kr과 같은 도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얻어 옵니다.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특정 도메인을 소유하게 되고, 해당 도메인은 그 서버의 IP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스템내부에서 처리작업을 할 때 보통 localhost로 처리를 하지만, 도메인으로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 2023. 3. 8.
반응형